맨위로가기

버드 하우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버드 하우저는 미국의 육상 선수로, 1924년 파리 올림픽에서 포환 던지기와 원반 던지기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옥스나드 고등학교 재학 시절 캘리포니아 주립 육상 경기 대회에서 6번 우승하며 주 기록을 경신했고, 원을 돌면서 한 바퀴 반을 빠르게 회전한 후 던지는 원반 던지기 스타일을 개발했다. 1928년 암스테르담 올림픽에서는 원반 던지기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며 2연패를 달성했다. 1926년에는 원반 던지기 세계 기록을 세웠으며, 은퇴 후 치과의사로 활동했다. 전미 육상 명예의 전당 및 벤추라 카운티 육상 명예의 전당 회원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남자 원반던지기 선수 - 라이언 크라우저
    라이언 크라우저는 미국의 포환던지기 선수로, 세계 신기록 보유자이자 올림픽 3연패를 달성한 최초의 선수이며, 2016년, 2020년, 2024년 올림픽 금메달, 2022년, 2023년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 2023년 세계 신기록 수립 등 뛰어난 경력을 쌓았다.
  • 미국의 남자 원반던지기 선수 - 케네스 카펜터
    케네스 카펜터는 미국의 원반던지기 선수이자 교육자로,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고 올림픽 기록을 경신했으며, 선수 은퇴 후에는 교사와 육상 코치로 활동하며 후진 양성에 기여했다.
  • 미국의 남자 포환던지기 선수 - 라이언 크라우저
    라이언 크라우저는 미국의 포환던지기 선수로, 세계 신기록 보유자이자 올림픽 3연패를 달성한 최초의 선수이며, 2016년, 2020년, 2024년 올림픽 금메달, 2022년, 2023년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 2023년 세계 신기록 수립 등 뛰어난 경력을 쌓았다.
  • 미국의 남자 포환던지기 선수 - 댈러스 롱
    댈러스 롱은 미국의 육상 선수로, 1964년 도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하고 1996년 미국 육상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으며, 은퇴 후 치과의사이자 응급 의학 전문의로 활동하다 2024년 파킨슨병 합병증으로 사망했다.
  • 미주리주 출신 - 잭 킬비
    잭 킬비는 미국의 전자 공학 기술자이자 집적 회로의 공동 발명가로, 1958년 단일 반도체 재료에 회로 부품을 집적하는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1959년 최초의 집적 회로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으며, 2000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미주리주 출신 - 러시 림보
    러시 림보는 미국의 보수 성향 라디오 토크쇼 진행자였으며, 자유주의와 페미니즘을 비판하고 인종차별 및 여성 혐오 관련 발언으로 논란을 빚었으며, 약물 중독과 불법 거래로 체포되기도 했고, 2021년 폐암으로 사망했다.
버드 하우저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러뮤얼 클라렌스 하우저
본명러뮤얼 클라렌스 하우저
별명버드 하우저
출생일1901년 9월 25일
출생지미주리주 위니건
사망일1994년 10월 1일 (93세)
사망지캘리포니아주 가데나
185cm
몸무게85kg
스포츠 정보
종목육상
세부 종목포환던지기, 원반던지기
소속 클럽LAAC, 로스앤젤레스
개인 최고 기록SP – 15.42 m (1926년)
DT – 48.20 m (1926년)
올림픽 메달
1924 파리포환던지기 금메달
1924 파리원반던지기 금메달
1928 암스테르담원반던지기 금메달

2. 생애 및 선수 경력

버드 하우저는 미주리 주 위니건에서 태어났지만, 1911년 부모님이 모두 돌아가신 후 캘리포니아 주 옥스나드로 이주하여 성장했다. 옥스나드 고등학교와 남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육상 선수로 활동하며 포환 던지기와 원반 던지기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1924년 하계 올림픽 파리에서 하우저는 포환 던지기와 원반 던지기 두 종목 모두에서 금메달을 획득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이는 올림픽 역사상 남자 선수가 두 종목을 모두 석권한 마지막 사례로 기록되었다. 1926년에는 원반 던지기에서 48.2m의 세계 신기록을 세우기도 했다.[6]

1928년 하계 올림픽 암스테르담에서는 미국 대표팀의 기수를 맡았으며, 원반 던지기에서 다시 한번 금메달을 획득하며 올림픽 2연패를 달성했다.

은퇴 후에는 치과의사로 활동하며 캘리포니아 주 할리우드와 팜 데저트에서 생활했다.

2. 1. 초기 생애 및 고등학교 시절

하우저는 미주리 주 위니건에서 태어났지만, 1911년 부모님이 모두 돌아가신 후 가뭄을 피해 캘리포니아 주 옥스나드로 이사했다. 그는 누나 마사와 그녀의 남편 월터 콘클린 밑에서 자랐다. 그는 들판에서 일하며 힘을 길렀는데, 여름에는 캘리포니아 주 코코란에서 43°C의 더위 속에서 건초 더미를 실었다.[2]

옥스나드 고등학교 학생이었던 하우저는 1920년부터 1922년까지 캘리포니아 주립 육상 경기 대회에 참가했다. 그는 포환 던지기와 원반 던지기에서 각각 6번 우승하며 매번 주 기록을 경신하여 역대 가장 성공적인 대회 참가자가 되었다.[3] 그는 3년 연속 "대회 최고 선수"로 선정되었다.[4] 이 기간 동안 그는 원을 돌면서 한 바퀴 반을 빠르게 회전한 후 던지는 원반 던지기 스타일을 개발했는데, 이는 이후 많은 선수들이 따라 했다. 그 후 그는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남캘리포니아 대학교에 입학했다.[5]

2. 2. 대학교 및 올림픽 경력

하우저는 미주리 주 위니건에서 태어났지만, 1911년 부모가 모두 사망한 후 가뭄을 피해 캘리포니아 주 옥스나드로 이사했다. 그는 누나 마사와 그녀의 남편 월터 콘클린 밑에서 자랐다. 그는 들판에서 일하며 힘을 길렀고, 여름에는 캘리포니아 주 코코란에서 43°C의 더위 속에서 건초 더미를 실었다.[2]

옥스나드 고등학교 시절, 하우저는 1920년부터 1922년까지 캘리포니아 주립 육상 경기 대회에 참가하여 포환 던지기와 원반 던지기에서 각각 6번 우승하며 매번 주 기록을 경신, 역대 가장 성공적인 대회 참가자가 되었다.[3] 그는 3년 연속 "대회 최고 선수"로 선정되었다.[4] 이 기간 동안 그는 원을 돌면서 한 바퀴 반을 빠르게 회전한 후 던지는 원반 던지기 스타일을 개발했는데, 이는 이후 많은 선수들이 따라했다. 그 후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에 있는 남캘리포니아 대학교에 입학했다.[5]

1924년 하계 올림픽 파리에서 하우저는 포환 던지기에서 동료 미국 선수 글렌 하트란프트와 랄프 힐스를 제치고, 원반 던지기에서는 핀란드 선수 빌호 니이티마와 미국 선수 토마스 리브를 제치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올림픽에서 남자 선수가 포환 던지기와 원반 던지기에서 모두 우승한 마지막 사례였다.

그는 1925년, 1926년, 1928년에 원반 던지기에서, 1921년(고등학교 재학 중)과 1925년에 포환 던지기에서 전국 선수권 대회를 우승했다. 1926년 4월 3일 팔로 알토에서 스탠퍼드 대학교와의 USC(남캘리포니아 대학교) 대항전에서 그는 48.2m의 원반 던지기로 세계 기록을 세웠다.[6]

1928년 하계 올림픽 암스테르담에서 그는 미국 대표팀의 기수를 맡았다. 그는 원반 던지기에서 타이틀을 지켜냈고, 다시 핀란드 선수 안테로 키비와 미국 선수 제임스 코슨을 제쳤다.

2. 3. 은퇴 후

하우저는 캘리포니아주 할리우드에서 많은 영화 배우들의 치과의사로 일하다가 캘리포니아주 팜데저트로 이사했다.[2] 옥스나드 고등학교의 경기장(원래 위치이자 현재 새로운 위치)은 그의 졸업식에서 깜짝 발표를 통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 그는 전미 육상 명예의 전당의 회원이며, 벤추라 카운티 육상 명예의 전당의 창립 멤버이다.[7][8]

3. 업적 및 영향

버드 하우저는 뛰어난 육상 선수로, 특히 포환던지기와 원반던지기에서 많은 업적을 남겼다. 1920년부터 1922년까지 캘리포니아 주립 육상 경기 대회에 참가하여 포환던지기와 원반던지기에서 총 6번 우승하며 매번 주 기록을 경신하는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며, 3년 연속 "대회 최고 선수"로 선정되기도 했다.[3][4]

1925년, 1926년, 1928년에는 원반던지기에서, 1921년(고등학교 재학 중)과 1925년에는 포환던지기에서 전국 선수권 대회를 우승했다.

이후 치과의사로 활동하면서도 육상에 대한 그의 업적은 잊히지 않았다. 옥스나드 고등학교의 경기장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2] 전미 육상 명예의 전당과 벤추라 카운티 육상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7][8]

3. 1. 독창적인 투척법 개발

하우저는 캘리포니아주의 대학에 다니면서 육상 경기에 참여했다. 1920년부터 1922년까지 캘리포니아주 육상 경기 대회에서 포환던지기와 원반던지기에서 6개의 타이틀을 획득했다. 모두 주의 기록을 갱신하며 역대 최고의 성적을 남겼다. 이 무렵, 그는 원 안에서 1회전 반을 돌아 원반을 던지는 스타일을 확립했다. 이 투척법은 후에 많은 선수들이 채택하게 되었다.[1]

3. 2. 올림픽 2관왕 및 세계 기록

1924년 하계 올림픽 파리에서 하우저는 포환던지기에서 동료 미국 선수 글렌 하트란프트와 랄프 힐스를 제치고 금메달을 획득했고, 원반던지기에서는 핀란드 선수 빌호 니이티마와 미국 선수 토마스 리브를 제치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올림픽에서 남자 선수가 포환던지기와 원반던지기에서 모두 우승한 마지막 사례였다.

1926년 4월 3일 팔로 알토에서 스탠퍼드 대학교와의 USC(남캘리포니아 대학교) 대항전에서 그는 48.20m의 원반던지기로 세계 기록을 세웠다.[6]

1928년 하계 올림픽 암스테르담에서 그는 미국 대표팀의 기수를 맡았다. 그는 원반던지기에서 타이틀을 지켜냈고, 다시 핀란드 선수 안테로 키비와 미국 선수 제임스 코슨을 제쳤다.

3. 3. 명예의 전당 헌액

1928년 하계 올림픽 암스테르담에서 하우저는 미국 대표팀의 기수를 맡았다. 그는 원반 던지기에서 타이틀을 지켜냈고, 다시 핀란드 선수 안테로 키비와 미국 선수 제임스 코슨을 제쳤다.[6]

하우저는 전미 육상 명예의 전당의 회원이며, 벤추라 카운티 육상 명예의 전당의 창립 멤버이다.[7][8]

참조

[1] 웹사이트 Bud Houser https://www.olympedi[...] 2021-10-01
[2] PDF 48budhouser http://www.cifss.org[...] 2011-10-11
[3] 서적 "HIGHLIGHTS of the California State Track Meet 1915 – 1984" https://web.archive.[...] KCC Press 2002
[4] 웹사이트 Unofficial Athlete of the Meet http://www.prepcaltr[...] 2013-09-21
[5] PDF USC OLYMPIANS: 1904–2004 http://grfx.cstv.com[...] USC Trojans Athletic Department 2018-09-16
[6] 웹사이트 Clarence (Bud) Houser http://www.usatf.org[...]
[7] 웹사이트 USATF Hall of Fame http://www.usatf.org[...] 2015-09-06
[8] 웹사이트 Ventura County Athletic Hall of Fame https://web.archiv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